드론의 비행 원리 8탄(feat. 드론에서 사용되는 첨단 통신 기술)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8탄입니다. 8탄에서는 드론에서 사용되는 각종 첨단 통신 기술들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드론의 사용 목적과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사용된다. 단편적인 예로 주파수만 보아도 지상에서 드론으로 비행 명령어 및 카메라 조작 등 페이로드 제어 신호 전송하는 상향링크는 2.4 GHz를 사용하고 공중의 드론에서 지상의 조종자에게 비디오 및 사진, 드론의 위치, 비행 속도, 배터리 잔량 등의 비행 정보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는 5.8 GHz를 사용한다. 또, GPS 위성제어 주파수로는 1.2 GHz 주파수를 사용한다. 드론이 사용하는 주파수도 다양하지만 통신 방법 역시나 다양하다. 블루투스(Bluetooth.. 2023. 2. 16. 아두이노(Arduino) 디지털 입력과 출력(Part 2. 초음파 센서 응용 거리측정기)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지난 포스팅을 통해서 아두이노(Arduino)의 디지털 출력을 이용하여 LED를 깜빡이는 예제에 대해 포스팅했었습니다. 오늘은 디지털 신호의 입력과 출력 가운데 초음파 센서에 대한 간단한 실행 예제를 통해서 후방감지기 즉, 거리측정기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음파? 초음파는 인간의 가청 주파수 즉,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보다 높은 20 MHz 이상의 높은 주파수를 가진 소리를 말하며, 초당 340m의 속도를 갖습니다. 참고로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는 보통 16Hz ~ 20kHz의 사이라고 합니다. 초음파 센서? 초음파 센서는 이러한 초음파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센서입니다. 또, 이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 사물 감지 등이 가능합니다. 흔히 .. 2023. 2. 15. 아두이노(Arduino) 디지털 입력과 출력(Part 1. LED 깜빡이기)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지난 포스팅을 통해서 아두이노(Arduino)의 시리얼(Serial) 통신에 대한 내용과 실행 예제에 대해 포스팅했었습니다. 오늘은 디지털 신호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간단한 실행 예제를 통해서 본격적으로 아두이노(Arduino)와 친숙해질 수 있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GPIO? 디지털 신호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예제를 보기 전에 ‘GPIO’의 개념에 대해 잠시 설명하겠습니다. GPIO는 General Purpose Input Output의 약어로 ‘범용 입출력’을 뜻합니다. 즉,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서 입력 또는 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목적의 핀입니다. 다용도 목적 입출력 핀(GPIO) 사용 방법은 약간의 준비 작업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핀의 용도.. 2023. 2. 14. 드론 비행승인 신청 초간단 방법(주의사항, 벌금, 드론원스톱 등)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매서운 한파가 어느 정도 물러나고 봄이 왔나 싶을 정도로 날씨가 다소 따뜻해진 느낌입니다. 이런 따뜻한 날에 드론을 이용한 영상이나 사진으로 평생의 추억을 남기고자 하는 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오늘은 드론 비행 승인 신청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격적인 포스팅에 앞서서 드론의 안전 관리제도 및 위반 시 처벌기준에 대해서 잠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행금지구역, 관제권 및 고도 150m이상 비행 시에 비행 승인 신청을 하지 않고 무단 비행을 하면 과태료 300만 원의 처분을 받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그림을 확인 바랍니다. 드론의 비행 승인에 필요한 서류는 기체의 중량과 영리 혹은 비영리 목적에 따라 달라지니 아래의 그림을 보고 미리 준.. 2023. 2. 13. 드론의 비행 원리 7탄(feat. 드론도 위성항법 시스템(GNSS)을 쓴다고~~)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7탄입니다. 7탄은 초심자들에게 편안한 드론 비행을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 위성항법 시스템(GNSS). 즉, GPS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GNSS? GPS? 위성항법 시스템(GNSS)이라고 하면 우리에겐 왠지 익숙하지 않은 느낌입니다. 일반적으로 표현할 때 위성항법 시스템(GNSS)보다는 GPS로 표현을 하지요. 위성항법 시스템(GNSS)이 맞을까요? GPS가 맞을까요? 제 개인적인 생각은 두 가지 모두 틀린 표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는 이제 드론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이미 사용하거나 하신 분들은 두 가지 표현의 정확한 의미를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항법이란? 위성항법 시스.. 2023. 2. 12. 아두이노(Arduino) 시리얼(Serial) 통신 예제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지난 포스팅을 통해서 아두이노(Arduino)의 기초에 대한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실행 예제를 통해서 아두이노(Arduino)와 친숙해질 수 있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말미에 아두이노(Arduino)와 PC 간에는 시리얼(Serial) 통신을 한다. 또, 시리얼 모니터 가능하다.라는. 내용을 했었습니다. 오늘의 시작은 시리얼 모니터 실행으로 하겠습니다. 우선 UNO 보드와 PC를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아래와 같이 입력해 보겠습니다. 무작정 따라 하기 int drone = 100; // 정수형 변수 drone를 만들고 100을 대입 void setup() { Serial.begin(9600); // 시리얼통신을 시작. 통신.. 2023. 2. 11. 아두이노(Arduino)의 시작( 아두이노의 기본 시작과 구성)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제가 최근에 공부 하게된 아두이노(Arduino)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아두이노(Arduino)는 프로그램 혹은 컴퓨터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코딩입니다. 아두이노(Arduino)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천천히 따라와 주시면 잘 이해가 될 듯합니다. 아두이노(Arduino)는 best friend라는 뜻으로 strong friend 즉 ‘믿음직한 친구’, ‘절친’을 의미하며 이탈리아에서 남자 이름으로 자주 쓰이고 있는 단어이지만, 보드의 이름으로 지정한 것은 ‘Arduino of Ivrea'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11세기 초 이브레아(Ivrea) 지역 왕의 이름을 가져와서 보드의 브랜드명으로 지정한 것이라고 한다. 아두이노.. 2023. 2. 10. 북극도 드론이 책임진다.(드론을 이용한 북극 풍력 발전....)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국내 스타트업 기업인 니어스랩에서 자체 개발한 기술을 드론에 적용해 북해 바다를 비롯해 세계 여러 나라에 위치한 1 만기의 풍력발전기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는 소식이 있어서 그 내용에 관련한 소식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니어스랩? 2015년 창업한 국내 스타트업 니어스랩은 독일 지멘스와 미국 GE가 모두 니어스랩의 고객으로 두고 있을 만큼 기술력으로 인정받은 회사이다. 니어스랩의 핵심 기술은 AI(인공지능)와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한 자율주행 드론이라고 할 수 있다. 니어스랩의 자율주행 드론은 기존의 드론 회사에서 운영 중인 방식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기존의 방식은 레이더와 라이다(LiDAR·레이저 센서) 같은 고성능 센서를 이용해 사물을 인식하여 자율 주행이 가능한 방식이.. 2023. 2. 9. 드론의 비행 원리 6탄(feat. 수명연장을 위한 정확한 드론 배터리 사용법)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6탄입니다. 6탄은 드론의 운용에 있어서 가장 가격이 부담스러운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올바른 배터리 사용법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우선 드론에는 앞서 5탄에서 살펴보았던 리튬 폴리머(Li-Po), 니켈 카드뮴(Ni-Cd), 니켈 수소(Ni-Mh), 리튬 이온(Li-ion) 등의 2차 전지 가운데 리튬 폴리머(Li-Po) 배터리를 주로 사용합니다. 이유는 리튬 폴리머(Li-Po) 배터리는 용량 대비 무게가 비교적 가벼우며, 별도의 케이스가 필요 없어 다른 형태의 2차 전지와 비교해 무게 및 경제적인 면 등에서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용 시 주의사항 1. 정격 용량 및 장비별 지정된 정품 배터리를 사.. 2023. 2. 8. 드론의 비행 원리 5탄(feat. 드론의 에너지원 배터리)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5탄입니다. 모든 이동 수단의 기본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원 즉, 배터리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 우리가 일반적으로 드론을 비행할 때 기체의 중량과 배터리 용량에 따라 비행시간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드론 애호가라면 한 번쯤은 배터리가 아니라 내연기관, 즉 엔진으로 만든다면 더 장시간 비행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봤을 텐데요. 일단 드론의 동력기관에 내연기관이 아닌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기체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함입니다. 기체의 무게는 비행시간과 밀접한 관계이죠. 두 번째는 소음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내연기관에 비해 배터리를 사.. 2023. 2. 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