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화시스템이 사고를 쳤다. 방산에 이어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분야도 본격 시동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대한민국 대표 방산기업인 한화시스템에서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의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우리 환경에 최적화된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운영 기술 확보와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겠다는 소식이 있어서 그 내용에 관련한 소식을 포스팅하겠습니다. MOU 체결 복수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SK텔레콤,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및 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실증사업에 관련한 MOU를 체결했다고 합니다. 이로써 한화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한국형 도심항공모빌리티(K-UAM) 실증사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고 볼 수 있다. K-UAM 실증 한편, 한화시스템 컨소시.. 2023. 2. 24.
UAM 주도권 확보 완료!! 싸워보자 SK KT LG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2025년 국내 상용화를 목표로 각 분야에서 UAM 관련 시장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하여 열심히 노력 중인데요, 오늘은 SK, LG 그리고 KT 통신 3사를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의 그랜드챌린지 참여에 관련한 소식을 포스팅하겠습니다. 그랜드챌린지는 국토교통부에서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상용화를 실현하기 위해 8월부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사업을 이야기합니다. 이 실증사업에는 1단계로 UAM 기체 제작 분야에 현대와 한화, 교통관리체계 분야에 SKT, KT, LG-U+, 버티포트(Vertiport, 수직 이착륙장) 분야에 카카오, 한국공항 공사, 건설사 등 국내외 55개 기관이 참여한 6개 컨소시엄 모두를 대상으로.. 2023. 1. 30.
안전한 UAM 운용을 위한조종자격 도입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안전한 UAM 운용을 위한 조종자격 도입 이라는 주제의 글을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5월에 발간된 에 따르면 EU 국민이 UAM에 대해 가지는 가장 큰 우려는 ‘안전(safety)’이다. UAM이 교통수단으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안전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 항공교통체계와 동일한 수준의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인적자원 관리와 관련해서 도심형 항공기는 지상 기반장비(통신·항법·감시·관제)의 설치 환경과 배치 구성에 따라 성능 및 커버리지가 달라지는 등 여러 변수가 존재하며 기계적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안전성은 조종사 등 UAM 관련 업무 종사자의 숙련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UAM 운용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심형 항.. 2023.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