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론의 비행 원리 33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5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3탄입니다. 33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횡단류 효과(Transverse Flow Effect) 횡단류 효과는 회전익 헬리콥터가 제자리 비행에서 전진비행으로 전환하여 속도를 높일 시 전·후 회전면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횡단류 효과는 전진비행 시 회전면이 기울어지면서 회전면에서 받는 공기흐름(합력상대풍)의 각도가 회전면 전반부와 후반부가 각각 다르다. 즉, 받음각의 각도가 달라진다는 의미이고 곧 양력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또, 회전속도뿐만 아니라 바람을 받아들이는 각도에 따라서도 .. 2023. 4. 21.
드론의 비행 원리 31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3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1탄입니다. 31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지면효과(Ground Effect) 지면효과는 지면에 근접하여 운용 시에 로터 하강풍이 지면과 충돌하여 양력 발생효율이 증대되는 현상으로, 헬리콥터의 성능을 증대시켜 적은 동력으로 제자리 비행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또 로터 직경의 1배 이내에서 정지비행 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된 곳 및 상대적으로 장애물이 없는 평탄한 곳에서 지면효과가 증가하게 됩니다. 차이점 지면효과를 받을 때와 받지 않을 때의 차이점으로는 유도기류의 속도, 유도항령, 받음각(영각) 및 수직 양력 등이 있습니다... 2023. 4. 19.
드론의 비행 원리 30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2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0탄입니다. 30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본격적인 포스팅에 앞서 헬리콥터와 멀티콥터에서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용어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원판(Disk) 원판은 프로펠러가 전진운동 없이 1회전으로 그려내는 원형 평면을 의미합니다. 피치각(Pitch Angle) 피치각은 시위선과 원판이 이루는 각으로, 뿌리부에서는 90도에 가까운 큰 각에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작은 각으로 변화합니다. 피치(Pitch) 피치는 프로펠러가 1회전하는 동안 나선형의 경로를 .. 2023. 3. 24.
드론의 비행 원리 24탄(feat. 에어포일(Airfoil) 이론 3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24탄입니다. 24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항공기 비행의 기본이론인 에어포일(Airfoil) 이론 3부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혹시나 에어포일(Airfoil)에 대한 기본용어와 기본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 1. 에어포일의 두께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두께가 얇은 에어포일(Airfoil) 두께가 얇은 에어포일은 받음각(영각)이 작을 때 항력이 작아지며, 받음각을 크게 하면 항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류박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두께가 두꺼운 에어포일(Airfoil) 두께가 두꺼운 에어포일은 받음각이 작을 때도 항력은 비교적 크게 나타나지만 큰 양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받음각을.. 2023. 3. 16.
드론의 비행 원리 11탄(feat. 드론 비행 전 점검 내용과 RTH 기능)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11탄입니다. 11탄에서는 드론 입문자들이 놓치기 쉬운 비행 전 점검 내용과 RTH(Return to home) 기능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비행 전 점검 내용 1. 배터리 충전상태 확인 및 충전 조종기 및 기체 배터리 충전상태를 확인하고 부족 시 충전합니다. 배터리의 충전상태는 배터리 체커를 이용하여 셀(Cell) 별 전압 등의 배터리 잔량을 체크한다. 2. 기체 육안 점검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펠러(파손, 휨 현상 등), 모터(온도 등), 커넥터(벗겨짐 등), 배선(벗겨짐 등), 연결부위의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 및 고정상태 등의 기체 외관상의 파손 상태를 점검한다. 3. 풍속 등의 기상 .. 2023. 2. 26.
드론의 비행 원리 10탄(feat. 드론 조종기 1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10탄입니다. 10탄은 드론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드론 조종기 및 비행 제어 모드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조종기의 구성 드론의 조종기를 드론 입문자가 보면 너무나도 많은 버튼과 스위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일반적인 사용법을 기준으로 조종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드론 조종기는 각종 토글스위치와 조종 스틱, 미세 조종 버튼, 설정 버튼 LCD 디스플레이 및 송신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비행제어 모드 선택 드론의 비행제어모드는 GPS 자동 비행모드(GPS mode), 자세 제어모드(Attitude mode), 수동 모드(Manual mode)의 총 3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조종기 오른쪽 상단에 .. 2023. 2. 25.
드론의 비행 원리 5탄(feat. 드론의 에너지원 배터리)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5탄입니다. 모든 이동 수단의 기본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원 즉, 배터리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 우리가 일반적으로 드론을 비행할 때 기체의 중량과 배터리 용량에 따라 비행시간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드론 애호가라면 한 번쯤은 배터리가 아니라 내연기관, 즉 엔진으로 만든다면 더 장시간 비행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봤을 텐데요. 일단 드론의 동력기관에 내연기관이 아닌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기체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함입니다. 기체의 무게는 비행시간과 밀접한 관계이죠. 두 번째는 소음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내연기관에 비해 배터리를 사.. 2023. 2. 7.
드론의 비행 원리 3탄(feat. 프로펠러(프롭)과 로터 그리고 날개)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탄입니다. 3탄은 드론의 구동부 가운데 프로펠러 중심으로 종류와 소재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프로펠러와 로터의 구분 멀티콥터 기준으로 드론 하면 꼭 빠질 수 없는 부분이 프로펠러입니다. 현장에서는 프로펠러를 줄여서 ‘프롭’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일단 프롭과 프로펠러는 같은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앞쪽 공기를 뒤쪽으로 밀어내어 밀어낸 거리만큼 기체가 이동하게 됩니다. 프로펠러 길이와 피치는 주로 인치(inch) 단위로 표기합니다. 이때 피치(Pitch)는 프로펠러가 한 바퀴 회전 시 앞으로 나아간 거리를 의미합니다. 또, 프로펠러 표시 단위는 .. 2023. 2. 5.
드론의 비행 원리 2탄(feat. 드론은 센서 융합의 결정체)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지난번에 뉴턴의 법칙과 베르누이 정리를 기본으로 드론(항공기)의 비행이 가능한 힘의 원리에 대한 포스팅 했었는데요, 오늘은 드론의 구조와 구성요소 가운데 다양한 센서 중심으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드론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집약체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센서와 장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종류도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GPS, 지자계 센서, 기압 센서, 관성 측정 장치(IMU), 비행제어컴퓨터(FC), 모터, 프로펠러, 전자 변속기(ESC) 및 프로펠러 등 다양한 구성품들이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로 센서와 같은 전자 부품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자이로 센서 자이로 센서는 드론의 비행에서 각 방향 즉, X, Y, Z .. 2023.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