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론은 무엇인가 5탄(feat. 드론 예방정비)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은 무엇인가? 5탄입니다. 5탄에서는 드론의 예방정비 체계에 대한 내용 등을 포스팅하겠습니다. Ⅰ운용 시기별 점검 1. 비행 전 점검(PR ; Pre-flight Check) 비행 전 점검은 조종사가 당일 첫 비행을 하기 전에 기체의 외관 등의 비행 준비상태를 육안 점검한다. 2. 비행 점검(FL; Flight Check) 비행하는 동안 조종사는 지속적으로 비행체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조종한다. 만약 자동비행 상태라 할지라도 조종사는 전반적인 비행 상태를 주기적·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이상 유무를 판단해야 한다. 3. 비행 후 점검(PO; Postflight Check) 그날의 최종비행을 마치고 나면, 비행 중 문제가 있다고 의심.. 2023. 5. 1.
드론은 무엇인가 4탄(feat. 무인비행체의 구조와 원리 2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은 무엇인가? 4탄입니다. 4탄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 무인비행체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내용 등을 포스팅하겠습니다. Ⅰ 배터리(연료전지) 촉매층에 연료와 산화제를 통과시켜 촉매에 의한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작동온도 및 동작방식 그리고 사용 재료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배터리(연료전지)의 종류 배터리(연료전지)의 종류로는 알칼리형 연료전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인산형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등이 있다. 2.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표기법 A. 셀(cell) 연결 개수 : 리튬-폴리머 배터리에서 셀의 직렬연결 수를 S (Serial, 직렬)로 표기한다. .. 2023. 4. 28.
드론은 무엇인가 3탄(feat. 무인비행체의 구조와 원리 1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은 무엇인가? 3탄입니다. 3탄에서는 무인비행체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내용 등을 포스팅하겠습니다. Ⅰ 무인비행체의 구조 1. 무인비행기 무인비행기 즉 고정익 비행기의 구조는 동체, 날개, 수평안정판, 수직안정판, 프로펠러, 착륙장치를 기본 구조로 하며, 여기에 조종면이 더해진다. 조종면은 좌우기울기(rolling) 조종을 위한 에일러론, 전후기울기(pitching) 조종을 위한 엘리베이터, 기수방향(yawing)을 조종하는 러더, 낮은 속도에서도 높은 양력을 만들기 위한 플랩으로 구성된다. 2. 무인멀티콥터 무인멀티콥터는 동체에 날개 수만큼 붐이 연결되어 있고, 붐 끝에 모터와 날개(프로펠러)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 .. 2023. 4. 27.
드론은 무엇인가 2탄(feat. 드론시스템의 종류와 분류 2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은 무엇인가? 2탄입니다. 2탄에서는 무인항공기의 구동 방식에 따른 분류와 무인항공기의 시스템에 대한 내용 등을 포스팅하겠습니다. Ⅰ. 무인항공기 구동 형태에 따른 분류 1. 고정익(fixed wing) 무인항공기 고정 날개 형태인 무인항공기 시스템으로, 연료 소모가 적어 장시간 운용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나 평지 지형이 필요하다는 제약이 있다. 2. 회전익(rotary wing) 무인항공기, 무인헬리콥터 헬리콥터형인 무인항공기 시스템은 수직이착륙이 가능하여 산악 지형이나 함상에서 운용하기에 유리하다. 하지만 연료소모율이 높아 장시간 운용에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 3. 가변로터형(tilt-ro.. 2023. 4. 25.
드론은 무엇인가 1탄(feat. 드론시스템의 종류와 분류)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은 무엇인가? 1탄입니다. 1탄에서는 드론(무인항공기)의 정의와 용어에서부터 드론 시스템의 종류와 분류에 대한 내용 등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무인항공기(드론)의 정의 무인항공기(드론)은 무인항공기 체계(시스템)를 줄인 표현으로,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자동(auto) 또는 반자동(semi-auto) 방식으로 원격조종(remotely piloting)하는 비행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시대별 무인항공기(드론)의 명칭 시대별 흐름 및 기술의 변화에 따라서 무인항공기(드론)의 용어도 다양하게 변화하였습니다. 1970년대 이전 : drone/target drone 2차 세계대전시부터 미국에서 처음으로 .. 2023. 4. 24.
드론의 비행 원리 33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5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3탄입니다. 33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횡단류 효과(Transverse Flow Effect) 횡단류 효과는 회전익 헬리콥터가 제자리 비행에서 전진비행으로 전환하여 속도를 높일 시 전·후 회전면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횡단류 효과는 전진비행 시 회전면이 기울어지면서 회전면에서 받는 공기흐름(합력상대풍)의 각도가 회전면 전반부와 후반부가 각각 다르다. 즉, 받음각의 각도가 달라진다는 의미이고 곧 양력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또, 회전속도뿐만 아니라 바람을 받아들이는 각도에 따라서도 .. 2023. 4. 21.
드론의 비행 원리 32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4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2탄입니다. 32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전이양력(Translational Lift) 전이양력은 로터의 회전으로 발생한 양력이 기체가 전진하기 위해서 헬리콥터 블레이드의 회전면을 앞으로 기울이는 순간, 위로 작용하던 양력이 앞으로 작용하는 추력으로 전이되는 양력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양력의 힘이 추력의 힘으로 전이되었다고 하여 전이양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행 상태의 변화 제자리 비행 시에는 앞으로 나아가가는 힘인 추력은 ‘0’이며 하강풍의 영향을 받고, 전진비행 시에는 기체가 앞으로 전진비행을 위하여 회전면의 각도를 .. 2023. 4. 20.
드론의 비행 원리 31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3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1탄입니다. 31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지면효과(Ground Effect) 지면효과는 지면에 근접하여 운용 시에 로터 하강풍이 지면과 충돌하여 양력 발생효율이 증대되는 현상으로, 헬리콥터의 성능을 증대시켜 적은 동력으로 제자리 비행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또 로터 직경의 1배 이내에서 정지비행 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된 곳 및 상대적으로 장애물이 없는 평탄한 곳에서 지면효과가 증가하게 됩니다. 차이점 지면효과를 받을 때와 받지 않을 때의 차이점으로는 유도기류의 속도, 유도항령, 받음각(영각) 및 수직 양력 등이 있습니다... 2023. 4. 19.
드론의 비행 원리 30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2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30탄입니다. 30탄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본격적인 포스팅에 앞서 헬리콥터와 멀티콥터에서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용어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원판(Disk) 원판은 프로펠러가 전진운동 없이 1회전으로 그려내는 원형 평면을 의미합니다. 피치각(Pitch Angle) 피치각은 시위선과 원판이 이루는 각으로, 뿌리부에서는 90도에 가까운 큰 각에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작은 각으로 변화합니다. 피치(Pitch) 피치는 프로펠러가 1회전하는 동안 나선형의 경로를 .. 2023. 3. 24.
드론의 비행 원리 29탄(feat. 드론은 어떻게 공중에 떠있을까 1부) 안녕하세요!! 드린이입니다 ::)) 오늘은 드론 입문자 혹은 초심자를 위한 드론의 비행 원리 29탄입니다. 29탄부터는 드론 가운데 멀티콥터가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는 원리와 이유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무인멀티콥터가 하늘에 뜨는 이유를 알아보기에 앞서 멀티콥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헬리콥터와 연결하여 뜨는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헬리콥터가 뜨는 이유 고정익 비행기는 엔진의 힘으로 활주로상의 일정한 거리를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가게 하여 날개에 공기를 계속 부딪치게 하여 양력을 발생시켜 하늘에 뜨게 하는 반면, 헬리콥터는 엔진의 힘으로 날개(로터)를 회전시켜 날개에 공기를 계속 부딪치게 해서 양력을 얻어 뜨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양력은 부딪치는 공기의 속도가 빠를수록 강해지고, 날개의.. 2023. 3. 23.